티스토리 뷰
이미지 사이즈 조정에서 인쇄하기 위해 resample을 체크한 후, 300dpi로 인치당 픽셀수를 변경하면 이미지는 사용할 총 픽셀의 수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인쇄물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컴퓨터 화면상으로는 픽셀의 간격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총 픽셀의 수가 변하지 않는 이상 이미지의 크기는 같다. 따라서 프린트용 보기(print size)를 사용해야 한다.
작은 이미지의 사이즈를 큰 사이즈로 만들 때 비큐빅 스무더 = 이미지 사이즈 조정에서 bicubic smoother를 해주게 되면 사이즈를 좀 키웠을 때 조금이라도 해상도를 덜 떨어뜨린다.
비큐빅 = 수평선과 수직선은 그대로 선을 유지하지만 곡선으로 만들어지거나 사선으로 만들어지는 부분을 부드럽게 해주겠다 (anti aliasing을 해주겠다)라고 해주는 부분이 bicubic smoother입니다. preserve details(enlargement)도 마찬가지..
웹용 이미지를 크게 키워서 글자를 또렷하게 해서 종이 인쇄하려면 width와 해상도를 높이고(확대과정임), resample의 nearest neighbor(hard edges)를 체크해준다.
아무 작업도 안하는 상태에서는 빈 공간을 더블 클릭해도 오픈 창이 열린다.
마법툴은 바로 색상으로 대상을 선택해줄 수 있다.
선택툴로 뭔가를 선택하고, 컨트롤 + D를 누르면 선택이 풀린다. 혹은 공백을 눌러도 선택이 풀린다.
레이어 패널에서 백그라운드라고 되어 있는 것은 락이 걸려 있는데
이런 경우, 이동도 안되고... 컬러를 버리게 되면 배경색으로 다시 칠이 되버려요.
따라서 수정을 하려면 1)백그라운드 글자를 더블클릭하고 2)new layer를 만들어서 잠금을 없애야 한다.
save for web에서 transparency체크 안하면 matt 컬러가 적용된다.
현재 열려진 화면에서 다른 탭의 화면으로 복사해 가져가는 3가지 방법!
1) 첫번째 화면에서 컨트롤 에이 -> 첫번째 화면에서 컨트롤 씨 -> 두번째 화면에서 컨트롤 브이
2) 첫번째 화면에서 드래그 앤 드랍 혹은 무브툴로 움직이면 된다. (단 화면상 아무것도 선택이 되지 않은 상태여야 한다.)
3) 윈도우 탐색기에서 드래그 앤 드랍 (단 화면상에 아무 것도 선택이 되지 않은 상태여야 한다.)
트랜스포메이션 단축키는 엔터 티. 그리고 편집 화면 끄는 방법은 엔터 = 더블클릭.
컨트롤 에이,씨해서 끌어온 것과 포토샵 자체 내에서 끌어다가 복사해서 가져온 것과 탐색기에서 가져온 것은 아이콘 모양이 다르다.
탐색기에서 가져온 것은 원본으로부터 스마트 링크가 걸려 있다. 그 특이한 하나의 아이콘을 더블 클릭! '컨텐츠를 에디팅 하게 된 후에는
에디팅을 해라, 그러면은 커피 JPG로 되돌아 왔을 때 다른 탭에 복사되어 쓰인 것이 변해 있을 꺼다...'라는 메시지가 뜸.
수정된 원본이 복사 적용된 모든 이미지에 그대로 연결이 된다.
이미지를 뒤집기 위해서는 에디트 메뉴 --> 트랜스폼 -> 플립 호리젠탈 혹은 버티칼
브러쉬 크기 조절 단축키 : 크게 = [ , 작게 = ]
채도를 없애는 법 = 무채색화 = 색상(=채도)을 없애는 법 : image -> adjustment -> deSaturate === shift + control + U (명령한다 유채색을 옮겨라)
히스토리 브러쉬 단축키 = Y (왜 사진의 역사를 배우는가??
desaturation + history brush 작품 제작에서 주의점.
이미지 사이즈가 변경되면 되돌아가지 못한다.
되돌아가려면 그 위치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기억되는 것이 망가진다.
확대를 사용시에 scrubble zum이라는 체크가 풀어져야 드래그 했을 때 그 부분만 확대된다.
'720p' 여기서는 720은 height를 의미하고 p가 progressive로 영상을 주사시킬 때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주사 방식이란 의미.
interactive는 격행 주사 방식. 홀수차 주사시키고 짝수차 주사시키는 방식.
HD중에서도 DV형태의 HD는 1280*1080으로 네모 픽셀의 비율이 납작해진다. 1: 1.5
컬러피커에서 오른쪽으로 가고 위로 올라갈 수록 맑고(채도=순색 혹은 흰색과 검은색이 섞이지 않은) 밝은 컬러다.
흰색이 많이 섞이면 밝고, 검은색이 많이 섞이면 어둡다.
파일-> 뉴. 누르면 나오는 팝업창에서 백그라운드를 지정하면 내가 지정한 배경의 캔버스를 생성한다.
브릿지 실행 단축키는 ctrl + alt + O 가장 발달된 형태의 오픈으로 같은 줄에서 편하게 누를 수 있도록 배치했다.
브릿지에서는 이미지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정보가 왼쪽 아래 뜨고 키워드를 직접 삽입할 수도 있다.
pga = 알파채널이 들어가는 이미지 파일
tiff = 인쇄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
파일 탭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눌러 'close all'을 하게 되면 프로그램 종료를 하지 않고 열린 창들을 모두 닫을 수 있다.
선택이 잡힌 상태에서 (shift or alt or shift + alt) + drag = 선택에 더하기 빼기, 교집합
선택이 안된 상태에서 (shift or alt or shift + alt) + drag = 정사각형, 클릭한 지점을 가운데로 설정, 정다형체 형태에서 클릭한 지점을 가운데로 설정해서 선택영역 설정
전경색 칠하기 = alt + delete (알은 두드러지니까)
배경색으로 칠하기 = ctrl + delete
포토샵에서는 ctrl + z 하면 리두 언두가 반복된다.
따라서 몇 단계 과거로 가기 위해서는 ctrl alt z를 눌러야 하고, ctrl shift z는 계속 미래로 가기
(위아래 혹은 양 옆으로 키가 배치되어 누르기 좋다. 양옆은 과거로 가고, 위 아래는 미래로 간다. )
선택툴로 영역 선택 --> delete키를 누르면 빈 곳을 뭘로 칠할꺼냐고 묻는 fill 대화 상자가 뜬다.
백그라운드를 일반 레이어로 바꾸는 방법 : 레이어를 더블클릭
이렇게 백그라운드 레이어를 일반 레이어로 바꾸게 되면 투명한 일반 레이어가 되서 선택영역을 설정하고 delete키를 누르면 그냥 지워진다. (레이어가 선택된 상태에서 실행해야 실행이 됨!!!)
선택영역 반전 : Select 메뉴 --> inverse (=shift + Ctrl + i 명령한다. 움직여라 inverse로)
선택툴의 옵션바의 feather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선택영역을 잡고 select 메뉴 아래(선택영역을 잡아야 활성화) 들어가면 modify 영역에 feather가 있으므로 여기서 그 때 그 때 feather값을 설정해서 사용하자. shift + F6(에프는 Feather의 첫자, 6은 th번대기 발음같다. 쉬프트 F6은 페더로 이동하라라는 말)
선택영역 스타일에는 노멀과 픽스트 레시오, 픽스트 사이즈(마우스로 푹찍으면 생성)이 있다.
1920*1080 = Full HD
선택 잡힌 대로 자르려면 image메뉴 -> crop
선택 영역 해제 = ctrl + d
눈동자 색깔 바꾸기
1) 가이드 그리기(View 메뉴 -> ruler, 단축키는 ctrl + r)
2) 원을 그려서 최대한의 원주가 포함되도록 선택 지정
3) 쉬프트 알트 선택영역 지정을 해서 교집한 원 하나 더 지정
4) 이제 쉬프트 드래그해서 살짝살짝 영역을 더해가면서 혹은 알트 드래그 해서 살짝 살짝 영역을 빼가면서 눈동자 크기의 외곽선을 따서 선택 영역으로 지정, 키보드 맨 밑에 가장 기다란 것들 두 개를 눌러서 확대해가며 세밀하게 영역 지정(ctrl+spacebar= 확대돋보기)
5) 만약 원 선택가 해당 눈의 원둘레와 거리차이로 도달하지 못한다면 "alt + shift를 하면서 spacebar"를 누르면 지금 alt shift를 누르며 지정한 영역의 위치가 이동이 된다.
5) 색상 바꾸기 : ctrl + u 혹은 이미지 메뉴 -> adjustment -> Hue & Saturation으로 색상 조절
6) 선택 영역을 잘못 설정해서 눈동자 밖으로 빠져 나온 영역이 있다면 History brush로 칠해서 복구해준다.
대각선으로 선택하려면 폴리곤 라쏘툴로 선택해야 한다.
*feather값은 픽셀수를 의미하므로 세밀하게 주기 위해서는 확대를 해서 픽셀 수를 직접 세어보아야 한다.
가이드의 0,0을 변경하려면 맨 왼쪽 상단의 모서리 영역을 끌고오면 되고, 원상복구 시키려면 조그마한 네모를 더블클릭 하면 된다.
눈금에서 마우스로 찍어서 끌고오면 가이드가 생성된다. 가이드 삭제는 선택툴로 선택 후에 딜리트.
무브툴로 가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포토샵 색상을 디폴트 칼라로 바꾸기 위해서는 '영문 키가 선택된 상태에서 d'를 누르면 검정 전경색에 흰색 배경색의 디폴트 색상으로 세팅!
single row marquee tool
Hue and Saturation : colorize = 모노톤으로 컬러가 잡힘.
선택 영역을 무브툴로 그냥 끌고 가면 도려내어진다.
alt + 무브툴 = 복사 (닭이 알을 낳듯이)
alt + shift + 무브툴 = 수평 복사
기존의 그림에 막칠을 하면 복구가 힘들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레이어를 만들어서 작업하자. 여기서 로우나 컬럼 마퀴툴로 선을 그리고(=그리드는 그리드 레이어에서 작업)
컬러를 바꿀 때는 백그라운드 레이어로 돌아가서 바꾼다. 그냥 쓰는 것이 아니라 원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백그라운드 레이어를 복사해서 쓸 것임. (레이어를 선택한 상태에서 레이어 복사 단축키 = ctrl + j 혹은 레이어를 새레이어 생성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랍)
레이어 위에 select가 된 상태에서 new layer로 끌고가면 select복사인데
레이어 위에 select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new layer아이콘으로 끌고가면 layer복사.
ctrl을 누르고 thumbnail을 꾹 누르게 되면 그 레이어 영역 모든 것을 선택.
레이어의 특정 부분만 선택하고 싶다면 마술봉툴을 사용.
<해당 레이어에서 선택 영역을 잡고 있는 경우>
현재 백그라운드 레이어에 복사하는 것은 move tool -> alt키를 누르고 복사 -> 현재 백그라운드 레이어에 복사
별도 레이어로 카피 : select 안에서 마우스 오른쪽 : layer via copy = ctrl + j
별도 레이어로 카피를 하되 원본에서 오려내어 레이어를 만들고 싶은 경우 : Ctrl + Shift(아예이동) + J = 마우스 우클릭 후 layer via cut
<해당 레이어에서 선택 영역을 잡지 않은 경우>
포토샵은 select 영역을 잡지 않고 있으면 = 그 위 레이어의 모든 것이 선택됨..--> 이 상태에서 alt 복사를 누르면 클릭된 상태의 레이어를 복사한 새로운 레이어가 생긴다.
<올가미툴, 라쏘툴, 자석 올가미툴>
올가미툴, 라쏘툴, 자석 올가미툴 선택 영역 한 단계 취소 = 백스페이스
올가미툴, 라쏘툴, 자석 올가미툴 선택 영역 전 단계 취소 = ESC
width, contrast 정하는 옵션은 숫자가 작을 수록 정밀도가 높다.
frequency는 통틀어서 점들을 몇 개나 만들까를 묻는 옵션, 숫자가 많아질 수록 디테일하게 select
작업을 하다가 더블클릭을 하거나 엔터키를 누르게 되면 시작과 끝을 무조건 연결
shift키를 누르고 드래그 하게 되면 15도 단위로 선택 영역 지정
올가미툴을 누르다 alt키를 누르면 다각형 올가미(올가미로 알을 부셔서 변환하게 만든다고 암기!)
다각형 올가미를 쓰다가 alt키를 누르면 올가미
자석 올가미를 쓰다가 alt를 누르면 다각형 올가미로 전환
자석 올가미는 그냥 자석을 쓰다가 그냥 콕콕 찍어주게 되면 다각형 올가미처럼 쓰여진다.
ctrl + thumbnail = 레이어 전체 영역 선택 --> 이 상태에서 move tool+alt 현재 레이어에 복사만 되고, 새로운 레이어에 복사가 되는 것은 아님.
일반적인 로고 작업 (보통 흰 바탕에 이루어진다.)
1) 마술봉 선택, continuous 체크 풀기(= 전체에서 특정한 색은 모두 select), 흰색 바탕 클릭
2) 위 과정을 거치면 로고의 흰 바탕의 것들은 모두 선택된 상태가 되고 그 상태에서 select메뉴에 inverse.
3) ctrl + C, ctrl + V
만약 바깥이 투명하다면
indexed color모드는 레이어로 생성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이미지컬러모드는 RGB컬러모드여야지만 레이어 더블클릭해서 일반 레이어가 되었을 때 마술봉으로 바깥에 선택한 것을 지우고
---------------------------------------------------2018년 10월 17일 -----------------------------------------------------------------------
<포토샵으로 pdf만드는 법>
file -> save as -> pdf
10장을 한꺼번에 띄워 놓고 file -> automate -> pdf presentation
<퀵 마스크툴>
quick selection tool : alt는 선택 영역에서 빠짐, shift는 선택 영역 더하기 --> 선택 영역을 붓질하듯 그린다. (브러쉬 []로 조절)
기본으로 더하기가 선택되어 있다.
magic wand tool : 단일 톤의 색상이 펼쳐져 있을 때 tolerance는 숫자가 커질 수록 유사 색상을 더 많이 가지게 된다.
좀 덜 선택이 되면 tolerance를 올리는 작업을 해본다. 그 후 다른 툴 조작.
샘플을 내가 찍어주는 하나만 기준으로 잡을지, 평균값(3*3 = 3픽셀3픽셀 평균값, 5*5는 5픽셀5픽셀 평균값...
일반적으로는 point select를 한다)을 선택을 할지..
tolerance = 허용치 = 인위적 색상 범위에 유사한 색상의 양을 얼마나 가져갈 것인지.
숫자가 커질수록 유사 색상이 더 많이 잡힌다.
퀵마스크 모드로 선택할 때, 원래는 브러쉬로 대상을 칠한다.
퀵마스크 모드의 단축키는 Q
퀵마스크 모드를 quick selection tool을 한 후에(대강 테두리를 그리는 것), 퀵마스크툴을 선택하고, 다시 퀵마스크툴의 브러쉬로 정밀하게 그리는 것이 좋다.
퀵마스크 모드에서 붓질을 하다 튀어나오면 지우개로 지워준다.
퀵마스크모드는 칠해 진 곳이 선택영역이 되게 할 수도 있고, 칠해지지 않은 곳이 선택 영역이 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조절하려면 퀵마스크모드를 더블클릭해서 조정한다.
스마트 편집은 드래그 앤 드랍을 한 후 엔터로 들어간다.
*브러쉬에서 브러쉬 사이즈가 안보이는 이유 : 캡스락이 켜져 있으면 브러쉬 사이즈가 안보인다.
<흑백만드는 법>
1) desaturate
2) adjustment -> black and white
<control + t>의 심화 조작
1) 모퉁이를 드래그하면 스케일 조정
2) 모퉁이 바깥으로 마우스를 가져가면 마우스가 화살표 회전모양 -> 회전
3) 모퉁이 하나를 ctrl과 함께 드래그 : 모퉁이 하나만 distort
4) 모퉁이 하나를 alt와 함께 드래그하면 : 중심에서부터 변형이 일어난다. (알이 중심에서부터 커진다고 생각)
5) shift와 함께 드래그를 하게 되면 가로 세로 비율이 맞춰진다.
6) control + shift와 함께 드래그하면 skew기능(scuuu)
7) alt + shift = 가운데부터 스케일이 정형태로 스케일이 조절.
8) ctrl + alt = distort가 반대쪽까지 같이 된다. 대각선 영역(컨트롤 알트 : 안면튼 반대편까지 조절)
9) ctrl + alt + shift = 다 누르는 것은 원근감이 주는 최고의 고난이도
더블클릭하거나 엔터로 마무리
<플립>
edit -> transform -> flip vertical 수직 반사
-------------------------- 2018년 10월 18일 -----------------------------------------------------------------------------------------
색깔 값 구하는 법
1) 포토샵에서 스포이드를 찍어서 RGB값을 구한다.
2) 컬러샘플툴을 콕찍으면 info 패널에 찍은 횟수만큼 넘버가 뜨면서 최대 4가지까지 알 수 있다. (alt키를 눌러서 타 클릭하면 채취한 샘플을 버리고 다른 컬러를 찍어줄 수 있다.)
3) 색 관련 사이트1 : adobe.com 한국 사이트 --> www를 지우고 color를 넣어서 color.adobe.com
색을 추출하고 싶은 사이트 색을 '이미지 가져오기'버튼을 누르고
'Color 무드 변경'값을 변화시키면서 색값을 가져와서
Color 테마에 저장한 후, '보기'를 누르고, ASE값을 다운로드 한다.
그러면 포토샵 Swatches 패널 오른쪽 상단 '트리거 혹은 팝업 버튼을 누르고'
Load swatches선택--> ASE을 선택하면 방금 골랐던 그 색깔들이 들어간다.
* 이미지에서 추출하는 것이 귀찮으면, adobe에서 다양한 색깔 추출을 해놓은 표인 '탐색'메뉴로 들어가서 선택.
탐색 메뉴에서 바로 다운로드하여 ASE파일이 저장된다. '저장'버튼을 누르면 내 라이브러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내 테마'메뉴를 사용하면 나의 색상조합을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고, '모든 라이브러리' 기능을 사용하면 폴더별로
분류해둘 수 있다.
4) https://www.colourlovers.com/ Browse메뉴의 palettes버튼을 누르면 다양한 팔레트가 존재.
* RGB가 2의 16승, 한 컬러당 256개(0에서 255단계가 있음)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빨강이 나타나지기 위해서는 최대값 ff가 되어야 함.
빨강이 하나도 나타나지 않으려면 00
헥사코드의 앞 두자리는 R의 값, 중간 두 자리는 G의 값, 마지막 두 자리는 B의 값